본문 바로가기

독서

운이 좋다고 말해야 운이 좋아진다_무의식 변경하기

운이 좋다고 말해야 운이 좋아진다

운이 좋다고 말해야 운이 좋아진다의 저자 하시가이 고지는 멘탈 트레이너 겸 심리 카운슬러입니다. 저자는 '왠지 모르게 잘 풀리는 사람'이 있는 반면, 만사가 잘 풀리지 않는 사람이 있다고 합니다. 이 책은 잠재의식보다 더 깊숙한 곳에 있는 메타 무의식이 이 결과에 큰 역할을 하며 메타 무의식에 대해 설명하고 메타 무의식의 패턴을 바꿀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안내합니다.

메타무의식

만사가 잘 풀리지 않는 사람의 원인에는 두 가지 요소가 있는데, 하나는 진정한 자신으로 살아가지 않는다는 점이며 다른 하나는 외부 상황에 맞게 감정이나 태도를 유연하게 바꾸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이를 해결하는 데는 '메타 무의식'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저자는 무의식이나 잠재의식보다 더 깊숙한 곳에 있는 것이 메타 무의식이라고 합니다. 메타 무의식은 사람에게 근본적인 사고방식의 토대가 됩니다. 그래서 이것은 언어와 행동이 되어 인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힘들 때, 현실의 내용을 바꾸려고 시도하지만 저자는 메타 무의식의 모양을 바꾸는 것이 삶을 변화시키기 더 쉬운 방법이라고 말합니다. 그래서 메타 무의식의 존재를 숙지하고 정비한다면 건강, 돈, 업무의 성과, 소망 등 많은 것을 이룰 수 있다고 말합니다.

메타프로그램의 패턴

저자는 메타 무의식을 정비할 수 있도록 메타 무의식을 열네 가지 패턴으로 나누었습니다. 먼저 나에게 어떤 의식 패턴이 있는지, 그리고 어떤 패턴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아는 것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그다음에 내가 어느 쪽 방향으로 가고 싶은지를 확인하고 최적의 패턴을 적용하면 되는 것입니다. 메타 무의식에는 감정이 동반됩니다. 불편한 마음이 든다면 패턴을 바꾸면 됩니다. 어떤 패턴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흐름이 바뀌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다른 패턴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이것이 바로 뇌의 필터를 갈아 끼우는 작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조건의 기준

메타 무의식에는 14가지 패턴이 있습니다. 그중에 조건의 기준으로 나뉘는 '결과 기대형'과 '결과 행동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결과 기대형은 조건이 갖추어져야 하고 싶은 일을 행동에 옮기려고 하는 패턴을 말합니다. 결과 행동형은 하고 싶은 일이 있을 때, 우선 필요한 조건을 갖추기 위해 움직이는 패턴을 말합니다. 둘은 비슷해 보이지만 전혀 다릅니다. 예를 들어, A와 B가 고깃집을 차리려고 할 때, 결과 기대형인 A는 "4000만 원이 모이면 고깃집을 차릴 거야."라고 말합니다. 결과 행동형인 B는 "고깃집을 차리려면 최소 4000만 원이 필요하더라고. 그 돈을 마련하기 위해 지금은 공장에서 일하고 있어."라고 말합니다. 이 중에 원하는 결과에 더 가까워지기 쉬운 사람은 결과 행동형인 B입니다. 또 다른 사례로, 어떤 사람이 '암이 나으면 다시 일할 거야.'라고 말하는 사람에게 저자가 '나는 내가 원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사업을 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암을 이겨내겠다.'라고 패턴을 전환시켰습니다. 그러고는 환자에게 일을 하는 모습을 상상해 보게 하였습니다. 그러자 뇌가 이를 '현실'이라고 판단하여 환자는 암의 80프로를 없애고 퇴원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운도 비슷한 맥락으로 작용합니다. '나는 운이 좋아.'라고 말하는 사람은 실제로 운이 좋을 확률이 높습니다. 운이 좋은 상상을 하고 매 순간 '운이 좋다.'라고 말한다면, 뇌는 이를 진짜로 받아들이며 현실도 이에 맞추어 움직이게 하는 것입니다. 이렇듯이 언어를 바꾸면 삶의 패턴도 바뀌게 되는 것입니다.

발전적인 단어로 현실이 바뀐다

건강기능식품을 먹을 때, '나는 건강해지기 위해 건강기능식품을 먹을 거야.'라고 생각한다면 뇌는 '지금은 건강하지 않다.'라고 인식을 하게 됩니다. 이는 의미 부여가 잘못된 예시입니다. 이럴 때, 발전적인 단어인 '좀 더', '더욱'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나는 건강기능식품을 먹고 좀 더 건강해질 거야.'라고 말입니다. 이는 '지금 이미 건강하다'라는 전제를 만드는 것입니다. 또 다른 예로 '나는 돈을 많이 벌고 싶다.'라고 생각하는 것은 '지금은 돈을 적게 번다.'라는 인식을 하게 되고, 잠재의식은 돈을 적게 버는 현실을 만들어 냅니다. 그러므로 '나는 지금보다 더 많은 돈을 벌 것이다.'라며 발전적인 단어를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발전적인 단어를 사용하고, '나는 정말 운이 좋다.'라고 자주 생각하고 상상해야겠습니다.